본문 바로가기
  • 이상과 현실 사이
  • 이상과 현실 사이
  • 이상과 현실 사이
시사

금준미주 천인혈 (feat. 춘향전 어사출도 이몽룡의 시)

by 용브로 2022. 12. 17.
반응형

금준미주 천인혈 (feat. 춘향전 어사출도 이몽룡의 시)

 

우한 폐렴 사태로 온 백성이 불안과 공포로 소위,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세상"에서 고통의 아비규환 상태인데, 청와대에서는 기생충 영화 출연진 광대들을 초빙하여 짜파구리 파티를 벌이고 파안대소하는 자체 홍보 사진을 보니 과연 이게 나라인가 하는 분노가 치솟고 백성들의 주리를 틀고 나라 곳간만 축내는 이 정권의 인간 나부랭이들을 보니 기생충이 따로 없다는 생각이 든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차단하고 환자들에게는 희망을 주고 구호의 손길을 내밀어야 하는데에 일분일초가 급박한 절체절명의 상황인데 울어도 시원찮을 시점에 저런 모습을 홍보 사진이라고 자기들 손으로 만들어 언론에 배포하다니 정녕 대가리가 돈 넘들이 아니고 서야 어찌 저럴 수 있단 말인가?

 

노랫소리 웃음소리 드높은 곳에 백성들의 원성이 하늘을 찌른다는 이 몽룡의 시구가 불현듯 떠올라 아래에 춘향전에서 통쾌했던 관련 15분짜리 동영상과 함께 시구절 전문 해석을 첨부한다.

 

개인적으로는 오래전 대학 입학시험에 금준미주 천인혈의 준 자와 옥반 가효 만성고의 고자가 무슨 뜻이냐고 국어 고전 시험에 나와 평소 열심히 외우고  좋아하던 시구라 서슴없이 답을 쓰고, 점수를 딴 잊지 못할 추억이 있다.

 

지금이 바로 춘향전 이 몽룡(윤 석열이 이 정도의 역할을 할까는 아직 의문이다)의 어사출두로 남원부사 변사또와 탐관오리들이 혼비백산 달아나는 통쾌한 그 장면이 조만간 총선과 대선을 통하여 분명히 재연될 것이라 확신한다.

 

춘향전중  생생한 어사출두 장면이 담긴 영상 첨부
https://youtu.be/PNbFAZUqApE

 2000년 임 권택 감독의 영화 춘향뎐 에 당시 무려 1000대 1의 경쟁을 뚫고 당당히 캐스팅 된 영화 배우 조 승우. 이 몽룡이 변 사또 연회석 에서 시를 쓰던 장면과 어사출두 장면을 생생하게  연기 하고 있다.   조 승우 는 70년대 인기 가수 조 경수 의 아들이다  

《지식백과 검색》

어사출두 시
御史出頭詩

金樽美酒千人血 玉盤佳肴萬姓膏
燭淚落時民淚落 歌聲高處怨聲高.
(금준미주천인혈 옥반가효만성고 촉루낙시민루락 가성고처원성고)
금항아리의 맛있는 술은 많은 사람의 피요, 옥쟁반의 좋은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일세. 촛농이 떨어질 때 백성들의 눈물도 떨어지고, 노랫소리 높은 잔치 자리에 백성들 원성도 높네.

어구(語句)

御史出頭 : 暗行御史(암행어사)가 중요한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지방 관청에 가서 坐起(좌기, 관청의 우두머리로서 집무함)하던 일. 어사 출또. 별칭 ‘露蹤(노종, 종적을 드러냄)’.

金樽 : 금으로 만든 술통. 술항아리 미칭.
美酒 : 맛이 썩 좋은 술.
玉盤 : 옥으로 만든 예반. 예반은 ‘쟁반 모양의 그릇’ 임.
佳肴 : 맛 좋은 안주. 美肴(미효).
膏 : 기름. 기름지다.
燭淚 : 촛농. 초가 녹아서 흘러 엉기는 것.
怨聲 : 원망하는 소리.

감상(鑑賞)
‘춘향전’에서 춘향과 百年佳約(백년가약)을 맺은 李夢龍(이몽룡)이, 太平科(태평과) 과거에 장원 급제하고 전라도 어사를 제수받아 남원으로 가, 卞(변) 사또가 베푸는 잔치 자리에 앉아 雲峰營將(운봉 영장)이 낸 운자에 따라 차운한 시로, 어사출두 바로 전에 지은 작품인데, 제목은 편자 나름으로 붙인 것이다. ‘춘향전’에서 으뜸가는 시로 양반들의 횡포와 벼슬아치들의 苛斂誅求(가렴주구)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고통스러운 심정을 후련하게 해 준 효과가 있었으리라. ‘잔치 자리의 맛난 술과 기름지고 맛 좋은 안주는 모두 백성들의 재물을 搾取(착취)하여 마련된 것이니 그것이 곧 백성들의 피요 살인 것이다. 잔치 자리를 밝히는 輝煌燦爛(휘황 찬란)한 촛불로 하여 떨어지는 촛농은 백성들의 비애의 눈물과 같고, 흥청망청 불러대는 노랫소리 따라 백성들의 원망하는 목소리도 높아진다.’라 하여 두 구씩 짝을 맞추어 외기 쉽게 지었다.

압운(押韻), 평측(平仄)
7언절구. 압운은 膏, 高 자로 평성 ‘豪(호)’ 평운이다.

춘향전
출처
한시 작가 작품 사전 이미지
한시 작가 작품 사전 2007. 11. 15.
책 정보
제공처
국학자료원
http://www.kookhak.co.kr

 


(20년 3월경 씀)

반응형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 정권 하에서 쓴 글들  (0) 2022.12.29
아카데미상 통역사  (0) 2022.12.26
탈북민 정착기  (0) 2022.12.16
말하기와 듣기  (0) 2022.12.12
실내 마스크 착용의무 해제에 즈음하여  (0) 2022.12.11

댓글